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9

《이터널스》: 신화적 존재가 마주한 인간성의 본질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새로운 흐름을 연 영화 《이터널스》(2021)는 단순히 강한 힘을 지닌 초월자들의 이야기 그 이상입니다. 수천 년 동안 인류를 지켜본 신화적 존재들이 이제 인간의 곁에서 삶과 감정을 공유하며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그립니다. 클로이 자오 감독은 이전 마블 영화들과는 전혀 다른 리듬과 철학을 통해 ‘신은 왜 인간처럼 흔들리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신의 시선에서 본 인간: 관찰자에서 공존자로이터널스는 본래 ‘관찰자’였습니다. 셀레스티얼의 명령에 따라 인류를 돕되, 전쟁이나 재난에는 개입하지 않는 수동적인 역할을 맡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고 인간들과의 관계가 깊어지며, 그들은 점차 ‘무감정한 존재’에서 ‘공감하는 존재’로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이카리스는 그중에서도 .. 2025. 5. 25.
《더 마스터》: 인물 클로즈업으로 읽는 심리의 해부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의 《더 마스터》(2012)는 표면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 사회를 배경으로 한 사이비 종교 지도자와 방황하는 남성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이 영화가 진정으로 집중하는 것은 인간 내면의 결핍, 갈망, 복종, 그리고 권력의 흐름입니다. 이러한 심리적 긴장을 감독은 인물의 얼굴을 해부하듯 클로즈업하며 드러냅니다. 본 리뷰에서는 인물의 표정, 시선, 침묵의 리듬을 통해 관객이 마주하게 되는 심리적 압력을 분석합니다. 클로즈업이라는 감옥: 얼굴이 말하는 욕망과 불안《더 마스터》에서 가장 압도적으로 다가오는 시각적 장치는 바로 인물의 얼굴을 프레임 가득 채우는 클로즈업입니다. 특히 호아킨 피닉스가 연기한 프레디는 영화 내내 구부정한 자세, 찌푸린 미간, 움켜쥔 턱선 등으로 인물 내면의.. 2025. 5. 24.
《디 아메리칸》: 정적인 미장센이 만든 서사의 밀도 조지 클루니 주연의 영화 《디 아메리칸》은 총성과 추격전 대신 정적이고 절제된 미장센으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흔히 기대하는 스파이 액션물의 문법을 따르지 않습니다. 오히려 프레임의 고요함과 공간 구성만으로 인물의 고독과 긴장을 압축해 보여줍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이 영화가 어떻게 정적인 시각 언어를 통해 서사를 구축하는지 분석합니다.1. 움직임 없는 긴장감: 정적인 화면 속 불안의 감각영화의 시작부터 우리는 눈에 띄는 ‘정지’를 경험하게 됩니다. 카메라는 인물을 따라다니기보다 일정한 거리에서 고정된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잭은 프레임의 중앙보다 구석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주변에는 종종 여백이 가득합니다. 이러한 구도는 시각적으로 불안정을 표현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인물이 어떤 위협 속.. 2025. 5. 23.
영화 《듄》 사운드와 장엄함이 만든 신화(음향/세계관/서사) 드니 빌뇌브 감독의 영화 《듄》(Dune, 2021)은 프랭크 허버트의 고전 SF 소설을 바탕으로, 시청각 예술의 최전선에서 새로운 ‘신화’의 언어를 창조한 작품입니다. 단순한 SF 어드벤처를 넘어선 이 영화는, 압도적인 사운드 디자인과 미장센, 그리고 주인공 폴 아트레이드의 운명을 둘러싼 서사를 통해 우주의 질서와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집니다. 이 글에서는 《듄》이 어떻게 사운드와 장엄한 이미지, 신화적 내러티브를 통해 고대적 전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는지를 분석합니다. 사운드가 먼저 도달하는 세계, 《듄》의 음향 미학《듄》은 시작부터 ‘보는 영화’가 아닌 ‘듣는 영화’입니다. 관객이 첫 장면을 보기 전에 이미 극장 안을 가득 메우는 중저음의 진동과 이국적인 리듬은, 이 작품이 단순.. 2025. 5. 22.
영화 "로마" 흑백 화면에 담긴 개인과 역사의 교차점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영화 《로마》(Roma, 2018)는 단순한 회고가 아닌, 기억을 통한 재현의 미학이자 한 시대의 정치적 불안과 여성의 존재를 교차시키는 깊이 있는 작품입니다. 1970년대 멕시코시티를 배경으로 하여, 중산층 가정의 가사노동자인 클레오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 이야기는 감독의 자전적 시선과 계급적 현실이 중첩된 화면 언어로 가득합니다. 이 글에서는 흑백 화면이라는 선택이 전하는 정서적 뉘앙스, 클레오라는 인물이 관찰자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는 과정, 그리고 역사의 변곡점에서 개인이 어떤 방식으로 흡수되고 소멸되는지를 중심으로 《로마》를 분석합니다. 흑백의 미장센, 감정의 잔상을 남기다《로마》에서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는 것은 바로 흑백의 영상미입니다. 알폰소 쿠아론은 이 작품에서 컬러를.. 2025. 5. 21.
《트리 오브 라이프》: 시와 영화의 경계 테렌스 말릭 감독의 《트리 오브 라이프》는 일반적인 서사 구조에서 벗어나 인간 존재의 본질과 우주적 신비를 탐색하는 독특한 영화입니다. 감정의 언어, 이미지의 언어, 침묵의 언어가 혼재된 이 작품은 영화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시(詩)입니다. 이 글에서는 《트리 오브 라이프》가 영화와 시의 경계를 어떻게 넘나들며 관객의 내면을 울리는지 세 가지 시선으로 분석합니다. 1. 시처럼 흐르는 이미지의 조합《트리 오브 라이프》는 전통적인 플롯 구조와 극적인 긴장감을 의도적으로 해체하고, 그 자리에 이미지의 연속과 감정의 파편을 배치합니다. 영화의 서사 중심은 텍사스의 한 가정에서 자란 잭이라는 인물의 내면적 기억과 우주 창조, 생명의 기원, 죽음과 상실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병렬적으로 엮어내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그.. 2025. 5. 20.
반응형